콘텐츠 제작에 도움이 되는 팁

좋은 콘텐츠는 하룻밤 사이에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입니다.
콘텐츠를 제작해 본 사람이라면 콘텐츠를 잘 만들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할 것 같습니다. 오늘은 제가 알고 있는 콘텐츠 제작에 도움이 되는 팁들에 대해서 소개해 보겠습니다.
콘텐츠 제작에 앞서, 콘텐츠 캘린더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체계적인 정돈이 가능하며 콘텐츠 제작에 기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유익합니다. 예를 들어, 매주 혹은 매월 업로드되는 콘텐츠의 수를 알 수 있다면 팀과의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고 마케팅 대행사를 이용할 경우 소셜 미디어의 피드가 어떻게 구성될지 미리 예상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캘린더를 사용함으로써 콘텐츠를 밀리지 않게 작업하고 게시할 수 있게 되어 고객과 소비자들은 기다리던 콘텐츠를 주기적으로 볼 수도 있게 됩니다. 자연스럽게 소비자들의 신뢰감도 향상할 것입니다.
다음은 '타깃층을 분석하라!'입니다. 타깃층에 대한 충분한 이해도가 없는 상태에서 콘텐츠를 제작할 경우 공감과 공유를 얻어내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것입니다. 6하원칙에 따라 타깃층을 분석하면 효율적입니다. 누가 원하는지,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인지,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사용 시간은 몇 시쯤인지, 어디에 살고 어떤 일을 하는지, 왜 나의 정보를 얻으려고 하는지, 어떻게 인터넷에 검색하여 정보를 얻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콘텐츠 제작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타깃층을 대상으로 하기에 잠재 고객을 진짜 고객으로 만들 기회도 높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잠재고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잠재고객을 누구로 정의하느냐의 문제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전에 가장 공을 들이고 신중하게 탐구를 해야 할 부분입니다. 광고에서 가장 중요한 홍보의 타깃을 정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같은 치과라도 임플란트 전문, 치석제거 전문 등 다양한 분야의 치과가 있습니다. 어떤 타깃을 대상으로 삼을지에 따라 전략이 완전히 바뀌게 되는 것이죠.
잠재고객을 정했다면, 그들을 어디에서 만날 것인지 찾아야 합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둘 다 조사해야 합니다. 오프라인 광고는 음식점을 운영한다면 나의 가게 주변 옥외광고 시스텝을 이용하면 간단합니다. 이외에도 버스 옆면, 지역 신문 등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온라인 광고는 오프라인보다 더 쉽다고 봅니다. 온라인상에는 수많은 커뮤니티들이 존재합니다. 즉, 잠재고객들이 단체로 모여있는 그룹이 많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커뮤니티에서 한번 소문이 나면 급속도로 퍼집니다. 이러한 것을 전문 용어로 바이럴마케팅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무턱대고 광고를 하면 본인의 브랜드 이미지가 나빠질 수 있고 큰 타격이 올 수도 있습니다. 커뮤니티 바이럴 마케팅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가가야 하며 본인의 전문 분야에 대해 그들에게 꾸준히 지식을 공유한다면 그들은 자연스레 나를 찾게 될 것입니다.
다음은 눈에 띄는 헤드라인(제목)을 만드는 것입니다. 전문 용어로 카피라이팅이라고 합니다. 소비자들에게 호기심을 주고 구매욕구를 돋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잘 지어진 카피라이팅의 예시로는 배달의 민족의 '다이어트는 포샵으로', 오늘의 집의 '오늘의 발견, 일상의 변화' 등이 있습니다. 눈에 띄는 한 줄로 자신의 브랜드를 표현하고 소비자를 설득해야 합니다.
이미지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고해상도의 시선을 사로잡는 이미지를 선택해야 하며, 이미지에서 사람들이 집중해야 할 하나의 대상을 강조하면 좋습니다. 이미지의 이해를 돕기 위해 텍스트를 넣을 경우, 너무 많은 문구는 구매자의 시각에 피로감을 줄 수 있으므로 되도록 짧게 넣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콘텐츠 자체를 보여주기 보다는 사람들이 나의 콘텐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혜택을 보여주면 좋습니다. 그들은 나의 콘텐츠 자체를 찾는 것이 아닌, 본인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찾기 위해 나의 콘텐츠를 검색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터의 필수 역량, 카피라이팅을 잘하기 위한 방법 (0) | 2023.07.30 |
---|---|
콘텐츠마케터의 필수 역량, 포토샵으로 하는 일 (0) | 2023.07.26 |
퍼스널 브랜딩의 효과 (0) | 2023.07.15 |
내 상품(콘텐츠)이 안 팔리는 이유 (0) | 2023.07.14 |
감성마케팅과 감성마케터 (0) | 2023.07.13 |
댓글